[개념/IT]인터넷의 주소, IP란 무엇인가?_IP 주소체계

2025. 6. 11. 13:53용어정리/개념-IT

💡 개념 요약

  • 언제: 1970년대 말, ARPANET의 확장과 함께 등장
  • 누가: 미국 국방부 산하의 DARPA에서 처음 개발
  • : 전 세계 컴퓨터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고유한 식별자가 필요했기 때문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각 장치의 주소로, 마치 우리가 사는 집 주소처럼 컴퓨터가 어디에 있는지를 가리키는 역할을 함

 

❓ 내가 가졌던 의문

  • IP 주소는 숫자인데 왜 IPv4, IPv6가 따로 있지?
  • 공인 IP랑 사설 IP는 뭐가 다르지?
  • IP는 고정일까? 바뀌기도 하나?
  • 우리가 쓰는 인터넷은 어떤 IP를 쓸까?

ChatGPT와 대화하며 주소 체계의 버전 차이, 구조, 변화 방식(DHCP vs Static), 주소 고갈 문제와 그 해결책으로서의 IPv6 등을 알게 되었음

 

🧠 개념 이해 과정

📌 1. IP란?

  • IP (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계층(OSI 3계층)에서 주소 지정과 패킷 전달을 담당하는 프로토콜
  • IP 주소는 32비트 또는 128비트 숫자로 구성되며, 각 네트워크 장치의 고유한 식별자

📌 2. IPv4 vs IPv6

구분IPv4IPv6
주소 길이 32비트 (4바이트) 128비트 (16바이트)
표기법 10진수 점(dot) 구분 (예: 192.168.0.1) 16진수 콜론(:) 구분 (예: 2001:0db8:85a3::8a2e:0370:7334)
주소 수 약 43억 개 사실상 무한 (2¹²⁸개)
개발 목적 초기 인터넷 사용 대응 주소 고갈 문제 해결 + 보안 + 효율성 강화
특징 널리 사용, 주소 고갈 문제 점진적 확산 중, 보안·라우팅 최적화
 

🌱 IPv6는 단순히 더 많은 주소를 제공할 뿐 아니라 보안(IPSec 내장), 자동 주소 설정(Stateless), 멀티캐스트 향상 등의 기능도 포함하고 있음

 

📌 3. IP 주소의 구조 (IPv4 기준)

  • 네트워크 부분 (Network ID): 어떤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지를 나타냄
  • 호스트 부분 (Host ID): 네트워크 내에서 특정 장치를 식별

📌 4. IP 주소 클래스 (Classful Addressing, 현재는 CIDR 사용이 일반적)

클래스시작 주소 범위용도서브넷 마스크 기본값
A 0.0.0.0 ~ 127.255.255.255 대형 네트워크 255.0.0.0
B 128.0.0.0 ~ 191.255.255.255 중형 네트워크 255.255.0.0
C 192.0.0.0 ~ 223.255.255.255 소형 네트워크 255.255.255.0
D 224.0.0.0 ~ 239.255.255.255 멀티캐스트용 -
E 240.0.0.0 ~ 255.255.255.255 실험용 -
 

지금은 IP를 더 유연하게 나누기 위해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방식 사용 중: 예) 192.168.0.0/24 는 256개의 IP 포함

 

📌 5. 공인 IP vs 사설 IP

  • 공인 IP (Public): 전 세계에서 고유하게 사용되는 IP, 인터넷 통신 가능 (ISP로부터 할당)
  • 사설 IP (Private):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하는 IP
구분주소 범위
A클래스 10.0.0.0 ~ 10.255.255.255
B클래스 172.16.0.0 ~ 172.31.255.255
C클래스 192.168.0.0 ~ 192.168.255.255
 

사설 IP는 라우터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됨

 

📌 6. 정적 IP vs 동적 IP

  • 정적 IP: 고정된 IP 주소, 서버·보안 시스템 등에서 주로 사용
  • 동적 IP: DHCP 서버에 의해 자동 할당, 대부분의 사용자 환경

 

🛠 핵심 기술 요약 표

항목설명
정의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에 부여되는 고유한 주소
핵심 개념 주소 식별, 패킷 전달, 네트워크 분할
사용 분야 웹 통신, 네트워크 설정, 서버 호스팅, 사물인터넷
대표 기술/제품 IPv4, IPv6, NAT, DHCP
유사 기술 MAC 주소, DNS
 

 

👣 대상별 학습 및 활용 전략

대상학습 방법활용 방안
학생 IP 주소 시각화 영상 → CIDR 계산 연습 교내 네트워크 구조 실습, C언어 소켓 프로그래밍
취준생 블로그 정리 → 네트워크 기초 모의면접 준비 포트폴리오 네트워크 구성도 포함
현직자 IPv6 도입 사례 조사, 보안 연계 학습 사내 네트워크 리뉴얼, 보안 아키텍처 설계
 

📚 학습 및 진로 연결법

👨‍🎓 학생

  • 네트워크 교과서(예: 컴퓨터 네트워킹 by 쿠로세 로스)로 OSI 모델과 함께 익히기
  • Cisco Packet Tracer로 가상 라우팅 실습하며 구조 체득

👨‍💼 취업 준비생

  • 포트폴리오에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추가
  • DHCP, NAT, CIDR 등을 기술면접 대비 문제로 정리
  • “웹 서버를 만들 때 공인/사설 IP 어떤 걸 써야 하는가?” 같은 실무 상황 질문 대비

👨‍🔧 현직자

  • IPv6 전환 계획 수립
  • 내부 자산 네트워크 보안 설계에 CIDR, NAT 적용
  • 클라우드 전환 시 VPC(가상 네트워크) 설계에 IP 체계 필수

 

📚 공부 자료 추천

ChatGPT에게 이렇게 물어보세요:
"CIDR이란 무엇이고, 왜 IPv4에서 중요할까?"
"내가 서버를 운영하려면 정적 IP가 필요한 이유는?"

 

🧠 오늘의 질문

“IPv6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보급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마무리 통찰

IP 주소는 단순한 숫자 조합이 아니라, 인터넷 세계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인프라의 핵심 요소임.
IPv4 주소 고갈은 단순히 수량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인터넷의 성장과 효율성, 보안을 아우르는 기술적 과제이며
IPv6는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미래형 설계로서 점진적 확산 중이다.

 

✅ 마무리 요약

IP 주소체계란 결국 컴퓨터 간 통신을 위한 식별자로, IPv4와 IPv6 체계로 발전하며 주소 고갈과 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핵심 네트워크 기술이다. 

 

GPT로 생성한 이미지로 글씨 깨짐/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